대한상공회의소 회장 자격으로 민간 경제사절단을 꾸려 미국을 찾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방미 성과를 낙관했다. 조선 등 6개 분야의 한미 협력 방안을 제시했고, 긍정적 반응을 얻었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한 호텔에서 최종현학술원 주최로 열린 ‘2025 트랜스퍼시픽다이얼로그’(TPD) 행사에 참석해 취재진과 만나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와의 첫 번째 접촉이다. 이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듣고 소통을 시작하고 가능하면 그들이 흥미로워할 얘기를 할 계획이었다”며 “그런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26명 규모의 ‘대한상의 대미 통상 아웃리치(대외 소통·접촉) 사절단’을 이끌고 미국으로 건너가 19, 20일 백악관·재무부 고위 당국자와 연방의원, 주지사 등을 만났다. 사절단은 21일 취임 선서식을 한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과도 40여 분간 면담하며 한국의 대미 투자 규모 등을 강조했다.
협력을 제안한 분야는 △조선 △에너지 △원자력 △인공지능(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 6개다. 최 회장은 “시너지가 날 수 있는, 같이해서 서로 좋은 얘기가 있을 수 있는 것을 준비해 왔고, (미국 측이) 6개 분야를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대미 투자 계획과 관련해서는 “필요한 투자는 하는 게 비즈니스인 만큼 검토는 계속할 것”이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내 생산 시설을 원한다고 하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계속 (미국이)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하는데 아직은 뭐가 나온 게 없지 않나. 그러니까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또 “인센티브가 꼭 돈만 갖고 따지는 게 아니다. 여러 종류의 인센티브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는 단순히 상품 수출만으로 계속 먹고 살 수 없다. 같이 활동해서 서로 시너지를 얻는 빅 프로젝트를 만들어서 해야 대한민국도 지금 같은 트렌드 파도에 잘 탈 수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조 바이든 정부에서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과학법(칩스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선 “(방미 기간 만난 미국) 정계 인사 한 분이 ‘그것은 계속 집행이 잘 될 것’이라고 했다. 자기들의 실리를 따진 셈”이라며 “무조건 ‘준다, 안 준다’ 이렇게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TPD는 한국·미국·일본의 전현직 고위 관료, 석학, 싱크탱크·재계 인사들이 동북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의 경제·안보 현안을 논의하는 연례 행사다. 최 회장은 21일 개회사 및 22일 AI 관련 특별 연설에서 “AI와 에너지 분야의 한미일 3국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전제한 뒤, 특히 협력 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하는 분야로 제조 AI를 꼽았다고 SK그룹이 밝혔다.
박진 전 외교부 장관은 TPD 좌담회에서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제조에 매우 뛰어나고, 세계 최고 품질의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생산하는 SK하이닉스가 있다. 미국은 AI 모델을 만드는 데 매우 창의적이고 일본은 컴퓨터 반도체 디자인을 촉진하는 데 관심이 많다”며 한미일 간 과학 외교를 추진할 것을 3국 정부에 제안했다.
워싱턴= 권경성 특파원 ficciones@hankookilbo.com
이윤주 기자 misslee@hankookilbo.com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22313310005735?did=NA
1. Security Challenges and the Future of U.S. Alliances in East Asia
Contingencies involving Taiwan, the South China Sea, and North Korea are of paramount importance due to their potential to disrupt regional and global stability. Taiwan represents a critical flashpoint in US-China relations, with implications for trade, global supply chains, security alliances, and the balance of power in the Indo-Pacific. The situation in the South China Sea is urgent, with near-constant PRC pressure on the Philippines in support of illegitimate maritime claims. Similarly, North Korea's unrelenting nuclear ambitions and unpredictable behavior pose significant threats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eyond. Deterring aggression will require careful strategic planning, robust deterrence, and cooperation between the U.S., Korea, and Japan, as well as other partners.
Gary SAMORE is the Director of the Crown Center for Middle East Studies and Professor of the Practice of Politics in the Department of Politics at Brandeis University. He is also a senior fellow with the Project on Managing the Atom at the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at the Kennedy School of Government at Harvard University. Samore previously served as President Obama’s White House Coordinator for Arms Control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e was a National Science Foundation Fellow at Harvard University, where he received his MA and Ph.D. in government in 1984.